HWASENG
VERDEPIA officetel
Status : Complete
Location : 화성향남2지구 C2-1-3
Program : 오피스텔, 근린생활시설
Site area : 1,149.60㎡
Area : 10,652.44㎡
Floor : 지상10층, 지하5층 (141 세대)
Parking : 총 108대 (장애인 주차 5대 포함)
Project Year : 2017
Photographs : kyung-sub shin
Client : -
![[크기변환]2.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5f1c7044838f4f6eb6a7559a66f02d0a~mv2.jpg/v1/crop/x_0,y_62,w_1918,h_1154/fill/w_1079,h_648,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2.jpg)
[PROLOGUE]
30년 동안 우리나라의 택지개발지구 상업지구 안에 들어서는 상업 건물은 공공성이나 주변과의 관계를 무시한 채 재산 및 투자가치로써 생각되어 무분별하게 들어선 가운데 오피스텔이라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프로그램이 나타났다. 상가지역 안에 있어 철저히 주변 도시와 단절된 주거공간으로써 공공 공간에 대한 이슈는 이야기되지 않은 채 끊임없는 경제논리에 의해 지어지는 도구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단순한 경제논리에 의한 평범한 건물에서 벗어나 새로운 풍경과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대지 분석 및 매스프로세스]
택지개발지구 중, 상가 필지 안에 제일 먼저 들어가는 건물로, 향후 주변에 들어설 상가들의 이미지를 상상해야 하는 우선 조건이 필요하였다. 난립하는 주변 상가들의 광고와 네온사인 등의 무질서한 도시환경 속에 단순한 볼륨의 가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미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저층부의 들린 볼륨 아래에 개방적인 상가는 보행자와의 소통의 매개체로 작동하고, 적극적으로 개방된 공개 공지와 함께 조금씩 다른 시도들이 모여 도시 속 색다른 풍경을 만들기를 기대하였다. 중앙 코어를 중심으로 두 개의 비슷하지만 다른 형태의 매스가 결합되어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자칫 경직돼 보일 수 있는 건물에 곡선형 매스를 추가함으로써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로 인식되도록 계획하였다.
![[크기변환]01. MASS PROCESS.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37811a8e0cfc4ae899ac0fd683e01d17~mv2.png/v1/fill/w_776,h_160,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01_%20MASS%20PROCESS.png)
[MASS PROCESS DIAGRAM]
![[크기변환]02. ELEVATION.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205c5aaa39cd4cc5beab15ac51f331d9~mv2.png/v1/fill/w_1016,h_372,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02_%20ELEVATION.png)
![[크기변환]3.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e2b6892f1a71470da88d1aeb44bce879~mv2.jpg/v1/fill/w_500,h_672,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3.jpg)
[정돈되지 않은 주변 도시와 이에 대응하는 오피스텔]
![[크기변환]9.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92f377053497438e8c326706a8a0d1e7~mv2.jpg/v1/fill/w_539,h_359,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9.jpg)
![[크기변환]8.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0a132f4440e24c358923c0a7153d2a48~mv2.jpg/v1/fill/w_529,h_353,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8.jpg)
![[크기변환]4.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0405abbc96b34225acaf345d9f1a19e0~mv2.jpg/v1/fill/w_343,h_491,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4.jpg)
![[크기변환]10.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a0cdb665526542c488d523fc2a9064f3~mv2.jpg/v1/fill/w_719,h_488,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10.jpg)
[입면 계획]
1M 깊이의 볼륨감 있는 그리드 패턴 입면계획을 통해 내·외부가 시각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그리드 입면계획을 통해 복잡한 주변 환경 사이에서 건물 전체의 단순한 이미지를 만들고자 하였다.
[볼륨감 있는 그리드 패턴 입면 디자인]
[저층부 공개공지 계획]
전면부 공개공지는 떠있는 볼륨 밑 저층부와 연계되도록 계획하여 지나가는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맞춰서 저층부는 휴먼스케일로 계획하여 경직되지 않은 자유로움을 보이고자 하였다.
[저층부 로비 계획]
두개의 매스 사이의 로비 공간은 앞·뒤 전면 커튼월을 통해 내·외부를 시각적·물리적으로 관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천장을 아트리움으로 계획하여 진입 시 수직적 개방감을 부여하고, 입체적 시퀀스를 완성하였다.
![[크기변환]7.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a10506cb354c4a9c81e35b76c6193811~mv2.jpg/v1/fill/w_910,h_607,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7.jpg)
[떠있는 볼륨 하부 공개공지 및 로비]
![[크기변환]11.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3c40e31d51d6481c967fae77011b9bab~mv2.jpg/v1/fill/w_327,h_491,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11.jpg)
![[크기변환]12.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5f231e6a0e3e4669ba210bbf84f874f7~mv2.jpg/v1/fill/w_735,h_490,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12.jpg)
![[크기변환]6.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03425706d77246f9b40cbf4e19e86fcf~mv2.jpg/v1/fill/w_510,h_340,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6.jpg)
![[크기변환]5.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c3beba53ddbf4e7098b8535a1cf91927~mv2.jpg/v1/fill/w_510,h_340,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5.jpg)
[재료 계획]
외부 재료는 인공적인 상가건물과 차별화 되는 이미지를 구현 하도록 석재이지만 따뜻함과 고상함을 보이는 아이보리 색이 있는 화강석 개열의 사비석으로 시공하였고, 랜덤 패턴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오브제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내부 재료계획은 주변 건물외부 마감과 대비되는 차분하고 묵직한 느낌의 노출콘크리트를 주요 마감 재료로 선택했다. 노출 콘크리트를 통해 빛과 볼륨으로 읽히는 순수한 본연의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서로 대비되는 입면 재료 및 실내재료]
![[크기변환]03. SECTION DIAGRAM.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a178b_020937e0c5134d4abe5f549c5b81cc07~mv2.png/v1/fill/w_585,h_800,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5B%ED%81%AC%EA%B8%B0%EB%B3%80%ED%99%98%5D03_%20SECTION%20DIAGRAM.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