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NCHEON

​송도 국제도시 도서관

Status : Competition Honorary Mentions

Location : 인천 연수구 송도동 115-2

Program : 도서관

Site area : 9,427.4㎡

Area : 8,220.10㎡

Floor  :  지하2층 - 지상 3층

Parking : 총 50대

Project Year : 2021

Photographs : -

Client : -

[크기변환]최종 투시도3.jpg

[PROLOGUE]

송도는 과거 소나무가 자라던 섬이었다. 간척 사업으로 바다를 메워 지금의 송도 신도시가 조성되었고, 현재는 메워져버린 송도의 옛 바다를 기억하기 위해  도서관 안에 바다를 담고자 하였다. 깊은  바닷속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유영하는 것처럼 이용자들이 도서관 속 공간을 자유롭게 유영하며, 즐길 수 있는 도서관이 되기를 바랐다.

[CONCEPT IMAGE]

[크기변환]개념 이미지.jpg

“A place like a beach filled with waves of laughing and playing children as if the whale calf does in the ocean”  

 - ’There is a mother in the word whale’ Jung Ho-seung -


[대지 분석 및 매스 프로세스]

[크기변환]단면 선 다이어그램 고래_바다 라인 연장.jpg

The Yellow Sea and Ocean

Shading Square

New City

[CONTEXT DIAGRAM]

대지의 북동측으로는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남서측으로는  골프장이, 골프장 너머에는 서해 앞바다가 펼쳐져 있다.

이러한  주변의 컨택스트를 고려했을 때 자연, 그리고 도심과의 적극적인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녹지 다이어그램 수정-01.jpg
[크기변환]매스다이어그램(사람추가).jpg

MASS

RECESSED GROUND

GREEN

SURFACE

OVERGROUND

[MASS PROCESS DIAGRAM]

[구조: 와플 구조 슬라브]

[크기변환]기존 도서관 구조.jpg
[크기변환]와플구조.jpg

지금까지의 도서관 건물 대부분은 보와 기둥으로 이루어진 라멘식 구조로 구성되어 왔다. 기둥 사이에 줄지어 배치된 높은  책장들은 고정된  채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적으로 만들고 마치 그 사이에 끼인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런 제한된 레이아웃의 공간은 사용자의 창의성을 저하 시킬 수 있다.

와플 구조는 30m 안팎의 수직 순환 코어와 4개의 거대한 기둥이 지지하고 있으며 각각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와플 구조는 긴 스판의 공간을 만들기 위한 구조적 장치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도서관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 장치이다.

[구조: 쿼드 코어]

쿼드코어 다이어그램.jpg

공간을 크게 문화,어린이,오피스,도서관으로 분류하고 분리된 이 4개의 프로그램들 각각에 개별적인 수직 동선을 배치했다. 이렇게 완성된 쿼드코어는 ​건물의 주요 수직 동선인 동시에 부유해있는 도서관의 매스를 지지하는 메인 구조가 된다.

[BIRD EYE VIEW]

[크기변환]최종 투시도2.jpg
[크기변환]최종 투시도.jpg
[크기변환]최종 메인 투시도.jpg
[크기변환]단면 투시도 최종-01.jpg
bottom of page